오늘은 파이썬에서 공백을 제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함수 replace와 split 함수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자.
replace 함수
replace 함수의 기본 구조
매개변수 |
매개변수 역할 |
old(필수) |
대체하려는 문자열 또는 문자열 패턴이다. 이 매개변수는 반드시 정해야 한다. |
new(필수) |
대체할 새로운 문자열이다. old로 지정되 ㄴ문자열 또는 패턴을 찾으면 이 문자열로 대체된다. 이 매개변수도 반드시 지정해야 한다. |
count(선택) |
대체할 횟수를 지정하는 정수이다. 이 매개변수를 생략하면 문자열 내의 모든 old 문자열 또는 패턴이 new로 대체된다. count를 지정하면 해당 횟수만큼만 대체된다. |
기본 구조의 예시 코드
세 번째 매개변수인 count를 2로 설정하여 "파이썬" 문자열을 "Python"으로 2번째까지만 대체하였다.
문자열. replace() 함수를 이용하여 문자열 내의 모든 공백 문자를 다른 문자열로 대체하는 식으로 공백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replace() 함수는 문자열에서 모든 공백 문자를 특정 문자열로 대체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strip() 함수
문자열.strip() 문자열. strip() 함수를 사용하여 문자열의 양 끝에서 공백을 제거할 수 있다. 문자열. strip() 함수는 문자열의 양 끝에 있는 공백 문자(스페이스, 탭, 줄 바꿈 등)를 모두 제거하게 된다.
함수명 |
함수 기능 |
strip() |
문자열 양 쪽 공백 제거 |
lstrip() |
문자열 가장 왼쪽 공백 제거 |
rstrip() |
문자열 가장 오른쪽 공백 제거 |
1. strip()
문자열의 양 끝의 공백을 제거
2. lstrip()
문자열의 가장 왼쪽의 공백을 제거
3. rstrip()
문자열의 가장 오른쪽의 공백을 제거
위의 예시들에서 lstrip과 rstrip 모두 결과 같아 보이지만 실제로는 lstrip() 함수는 가장 왼쪽의 공백만 제거되었고 rstrip() 함수는 가장 오른쪽의 공백만 제거가 되었다.